‘원곡지구 보성상가 재건축 추진위원회’ “용적률 규제 하루빨리 개정하라!”

현 안산시 지구단위계획 개정 촉구 규탄대회 17일 개최…책임회피식 행정 날선 비판 용적률 현 규정 재건축 사업 절대 불가능 주장…노후상가 화재 사고 등 위험요소 곳곳 엄철윤 위원장 “현 정부 재건축 정책과 반대, 재건축 용적률 원상 복구해야” 강력 촉구

2023-03-17     김석일 기자
‘원곡지구 보성상가 재건축 추진위원회(위원장 엄철윤)’는 지난 3월 17일 보성상가 정문 앞에서 현 안산시 지구단위계획 개정 촉구 규탄대회를 개최했다.

현재 안산시의 발목을 잡고 있는 현 지구단위계획은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 “평생 재건축을 못하도록 못 박은 용적률 규제를 하루빨리 개정하라!”

원곡지구 보성상가 재건축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위원장 엄철윤)’ 구분소유자들이 과거 민선 7기 시절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위치한 보성상가를 비롯해 안산시 전체 일반상업지역에 대해 용적률을 기존 1100%에서 400%로 하향 조정한 것에 대해 발끈하고 나섰다.

노후된 보성상가 건축물 외벽 모습.

보성상가에서 소규모 장사를 영위 중인 구분소유자 및 일부 임차인들은 지난 317일 보성상가(단원구 라성로 48) 정문 앞에서 추진위가 원하는 사안들을 성명서 방식으로 발표했다.

추진위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안산시에서 용적률 상향을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주민공람 시 용적률이 800% 이상 나올 것이라는 여론이 형성되어 재건축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했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202211월에 지구단위계획 주민공람 시 공고된 용적률로는 도저히 재건축을 추진할 수 없어 이렇게 우리 상인들이 뜻을 모아 규탄대회를 하게 됐다고 성명서 발표의 배경을 설명했다.

2022년 7월 31일 보성상가 3층 놀이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은 화재 당시 현장 모습.

이들은 이어 우리 주변에 위치한 인천시와 시흥시는 일반상업지역 용적률이 각각 1,000%이고, 대다수 타시도는 800% 이상인 반면, 우리 안산시만 낮은 용적률을 고집하고 있는 것은 구태의연한 책임회피식 행정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강조하면서 특히, 정부도 최근 싸늘해진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각종 부동산 규제를 과감히 풀고 있는 마당에 안산시만 홀로 원론적인 이야기만 앵무새처럼 되풀이하고 있는 것은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반하는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와 연관해 현재 이곳 원곡지구 경우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둘러쌓은 주거환경과 달리, 40년 된 노후상가들은 화재 발생 등 각종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는 한편, 저녁 시간 부녀자와 아이들 치안도 매우 취약하다는 게 보성상가 상인들의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해 731일에는 해당상가 3층 놀이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가 하면, 건물 곳곳에 누수가 발생하는 등 건축 노후화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날 상가 앞에 모인 구분소유자 40여 명 등은 안산시는 재건축 용적률을 원상 복구하라! 용적률 상향 정부정책에 역행하는 안산시는 각성하라! 재건축 용적률 규제 철폐하라! 원곡지구 재건축 규제 더 이상은 못 참겠다!’는 구호를 제창한 뒤 해산했다.

3월 17일 구호를 외치고 있는 보성상가 구분 소유자들.

엄철윤 위원장은 안산시 재정자립도가 37%대까지 곤두박질쳤고, 경기도 31개 시군 중 6위였던 인구 순위는 화성과 남양주에 밀려 8위로 추락한 지 오래라면서 도시가 과감히 변화하지 않고 현재에 안주한다면 경기권에서도 안산시는 잊혀가는 낡은 도시로 추락할 것이라며 현 정부와 반대로 가고 있는 안산시 재건축 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번 규탄대회와 관련 엄 위원장은 20221212, ‘원곡지구 지구단위계획결정() 주민공람 이의신청서를 안산시에 제출하기도 했다.

최용석 사무장은 우리 영세상인들은 안산시에서 수십 년 간 장사를 해오면서 안산시를 사랑하고 있는 시민들이라며 지자체가 우리의 외침을 계속 외면한다면 이곳 일대 상인들은 용적률 상향을 위한 집회를 계속 이어갈 수밖에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원곡지구 일반상업지역 보성상가 외 8필지는 건축한 지 35~40년이 경과 된 노후 건축물로 이번에 성명서를 발표한 보성상가 내에는 142명의 구분소유자들이 몸 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규탄대회에 동참 중인 구분 소유자들은 기준용적률 600%, 허용용적률 800%, 상한용적률 900%로 용적률 상향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