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안산시 지구단위계획 개정 촉구 규탄대회 17일 개최…책임회피식 행정 날선 비판
용적률 현 규정 재건축 사업 절대 불가능 주장…노후상가 화재 사고 등 위험요소 곳곳
엄철윤 위원장 “현 정부 재건축 정책과 반대, 재건축 용적률 원상 복구해야” 강력 촉구

“현재 안산시의 발목을 잡고 있는 현 지구단위계획은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 “평생 재건축을 못하도록 못 박은 용적률 규제를 하루빨리 개정하라!”
‘원곡지구 보성상가 재건축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위원장 엄철윤)’ 구분소유자들이 과거 민선 7기 시절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위치한 보성상가를 비롯해 안산시 전체 일반상업지역에 대해 용적률을 기존 1100%에서 400%로 하향 조정한 것에 대해 발끈하고 나섰다.

보성상가에서 소규모 장사를 영위 중인 구분소유자 및 일부 임차인들은 지난 3월 17일 보성상가(단원구 라성로 48) 정문 앞에서 추진위가 원하는 사안들을 성명서 방식으로 발표했다.
추진위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안산시에서 용적률 상향을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주민공람 시 용적률이 800% 이상 나올 것이라는 여론이 형성되어 재건축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했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2022년 11월에 지구단위계획 주민공람 시 공고된 용적률로는 도저히 재건축을 추진할 수 없어 이렇게 우리 상인들이 뜻을 모아 규탄대회를 하게 됐다”고 성명서 발표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이어 “우리 주변에 위치한 인천시와 시흥시는 일반상업지역 용적률이 각각 1,000%이고, 대다수 타시도는 800% 이상인 반면, 우리 안산시만 낮은 용적률을 고집하고 있는 것은 구태의연한 책임회피식 행정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강조하면서 “특히, 정부도 최근 싸늘해진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각종 부동산 규제를 과감히 풀고 있는 마당에 안산시만 홀로 원론적인 이야기만 앵무새처럼 되풀이하고 있는 것은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반하는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와 연관해 현재 이곳 원곡지구 경우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둘러쌓은 주거환경과 달리, 40년 된 노후상가들은 화재 발생 등 각종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는 한편, 저녁 시간 부녀자와 아이들 치안도 매우 취약하다는 게 보성상가 상인들의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31일에는 해당상가 3층 놀이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가 하면, 건물 곳곳에 누수가 발생하는 등 건축 노후화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날 상가 앞에 모인 구분소유자 40여 명 등은 ‘▲안산시는 재건축 용적률을 원상 복구하라! ▲용적률 상향 정부정책에 역행하는 안산시는 각성하라! ▲재건축 용적률 규제 철폐하라! ▲원곡지구 재건축 규제 더 이상은 못 참겠다!’는 구호를 제창한 뒤 해산했다.

엄철윤 위원장은 “안산시 재정자립도가 37%대까지 곤두박질쳤고, 경기도 31개 시군 중 6위였던 인구 순위는 화성과 남양주에 밀려 8위로 추락한 지 오래”라면서 “도시가 과감히 변화하지 않고 현재에 안주한다면 경기권에서도 안산시는 잊혀가는 낡은 도시로 추락할 것”이라며 현 정부와 반대로 가고 있는 안산시 재건축 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번 규탄대회와 관련 엄 위원장은 2022년 12월 12일, ‘원곡지구 지구단위계획결정(안) 주민공람 이의신청서’를 안산시에 제출하기도 했다.

최용석 사무장은 “우리 영세상인들은 안산시에서 수십 년 간 장사를 해오면서 안산시를 사랑하고 있는 시민들”이라며 “지자체가 우리의 외침을 계속 외면한다면 이곳 일대 상인들은 용적률 상향을 위한 집회를 계속 이어갈 수밖에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원곡지구 일반상업지역 보성상가 외 8필지는 건축한 지 35~40년이 경과 된 노후 건축물로 이번에 성명서를 발표한 보성상가 내에는 142명의 구분소유자들이 몸 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규탄대회에 동참 중인 구분 소유자들은 기준용적률 600%, 허용용적률 800%, 상한용적률 900%로 용적률 상향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